세일즈 브랜딩
home
세일즈 브랜딩이란
home

[작은것부터] 1년에 24개의 성취를 했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

수험생활을 하면서 1년동안 24개의 습관을 들인다고 생각한다.
1.
매일 9시에 무언갈 하기
2.
매일 운동가기
3.
매일 감사일기 쓰기
4.
이렇게 24개의 습관을 가지고 살아가면, 이제 수험생활은 투자의 시기였던 것이지, 소비의 시간이 아니었던 것
저는 날아 다닐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이렇게 되면 몸과 건강 정신이 엄청 건강해져있을 거다.
그러나 대부분이 목표를 되게 추상적으로 만든다.
그러니 흐지부지되는 것
매일 할수 있는 목표로 쪼개라.
나는 이걸로 엄청난 발전을 지금 하고 있고, 1년 뒤에 여러분들이 나를 보았을떄 정말 많이 달라져있을 거다.
내가 1년 전에 이걸 알고 적용했더라면 (희소성 원칙)
식단을 할때에도 군것질을 안하면서 식단을 4끼먹을 생각을 하지말고 그냥 식단을 4끼 먹는다는 것만 해라.

생활습관 자체를 바꾸지 않으면, 정말 일시적이다.

여러분 생각해보세요. 매일 오전 9시에 독서실에 가는 사람 vs 자기 마음대로 가는 사람 / 매일 운동하는 사람 vs 운동 안하는 사
몸짱이 되기 위해서는 매일 운동, 매일 식단을 해야한다.
그런데 여기서
장기적인 싸움에서는 이렇게 타이트하고 추상적인 계획을 세워서는 안된다.
몸짱이 되기 위한 여러가지 요소를 분해해봐야한다.
1.
매일 운동
a.
매일 헬스장가기 1단계
b.
매일 유산소 30분 타기 2단계
c.
제대로 된 자세로 운동하기 > 멘토의 도움 3단계
d.
매일 근력 운동하기 4단계
2.
매일 식단
a.

애티(애티튜드) 가 좋아야 하는 이유

결과 > 과정 > 조금 더 깊게 들어가면 애티가 있다
애티가 좋은 사람은 항상 긍정적인 쪽을 바라본다.
결과주의는 정말 결과를 말하는거지 그사람의 삶의 방향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1조 부자가 있다고 해보자. 이 사람의 애티가 좋지 않으면 이 사람은 행복할 수가 없다. 매일 무언가에 얽매여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장에 100만원도 없는 사람의 애티가 좋다면, 그사람은 그사람이 해야할 일에 집중한다. 그리고 항상 희망을 가지고 산다.
애티가 좋은 사람이 되자.
1.
무엇이든 꾸준히 하는 애티
2.
운동을 하는 것이 성공이라고 믿는 애티
3.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애티
a.
예를 들면 수험에서 완벽주의
4.
잘된사람에게서 배우려는 애티
a.
코인을 잘하는사람에게 코인을 배울 수는 있지만 행복하게 사는 방법에 대한 애티는 배울 수 없다.
5.
그 사람에의 장점을 보려고 하는 애티
a.
그래야 내가 얻을 것이 무엇인지 보인다.
통제불가능한 영역에서 내가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 매일 내가 계획해놓은 것을 다 채워넣으면 된다 > 너무 이루기 추상적이고 큰 목표임 더 조갠다 > 공부를 시작한다 > 매일 아침에 똑같은 시간에 공부만 할 수 있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