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 브랜딩
home
세일즈 브랜딩이란
home

정부지원금 총정리

사업명
사업개요
지원내용
지원대상
소관 부처
전담(주관) 기관
비고
ㆍ초격차 스타트업1000+ 프로젝트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10대 신산업 분야의 혁신 기술 및 글로벌 진출 역량을 보유한 유망 창업기업을 선발하여 사업화 및 스케일업 지원
①사업화 자금 ②특화 프로그램③연계지원(기술개발, 정책자금, 기술보증 등)
신산업 분야 업력 10년 이내 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신산업기술창업과)
창업진흥원(딥테크육성팀)
ㆍ민관공동 창업자발굴 육성사업
창업기획자, 초기전문VC 등 민간의 선별능력을 활용하여 발굴한 유망 기술창업기업 대상으로 사업화·마케팅 자금을 지원하고 팁스 기업, 팁스 운영사 등이 입주가능한 인프라인 팁스타운 운영
①시제품 제작 ②해외진출, 마케팅③후속사업화 자금
팁스(TIPS) R&D에 선정된 창업기업 중 업력 7년 이내 기업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경우 업력 10년 이내
중소벤처기업부신산업기술창업과)
창업진흥원(민관협력팀)
ㆍ창업성공패키지(청년창업사관학교)
유망 창업아이템 및 혁신기술을 보유한 청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공간, 교육·코칭, 사업화자금 등 창업 全 단계 패키지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창업 교육·코칭③창업공간④기술지원⑤연계지원
만 39세 이하, 창업 3년 이내 기업
중소벤처기업부(청년정책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창업지원처)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창업중심대학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창업중심대학’으로 지정하여 대학발 창업을 활성화하고 지역창업 허브 역할 수행하기 위한 사업으로 대학발 창업기업 및 지역특화 창업기업 지원
사업화자금, 민간연계,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 등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청년정책과)
창업진흥원(청년도전팀)
ㆍ창업도약패키지
창업도약기(3~7년) 기업이 사업모델 혁신, 제품․서비스 고도화 등을 통해 데스밸리를 극복하고 스케일업 할 수 있도록 지원
①사업화 자금 ②창업지원프로그램
3년 초과 7년 이내
중소벤처기업부신산업기술창업과)
창업진흥원(혁신도약팀)
ㆍ예비창업패키지
혁신적인 기술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의 성공 창업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①사업화자금 ②창업프로그램
예비창업자(공고일 기준 사업자(개인, 법인) 등록 및 법인 설립등기를 하지 않은 자)
중소벤처기업부(신산업기술창업과)
창업진흥원(예비초기팀)
ㆍ초기창업패키지
유망 초기창업기업(창업 3년 이내)을 대상으로 사업화자금, 창업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기술혁신 및 성장 지원
①사업화자금 ②창업프로그램
업력 3년 이내 초기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신산업기술창업과)
창업진흥원(예비초기팀)
ㆍ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
녹색산업분야 유망 창업 아이템이 있는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의 아이디어,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창업 성장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프로그램지원
①예비창업자②창업기업(업력 7년 이내)③39세 이하의 예비창업자④39세 이하가 대표인3년 이내의 창업기업
환경부(녹색산업혁신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창업사업화실)
ㆍ신사업창업사관학교
창의·혁신적 아이디어 등을 보유한 예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창업 준비 수준 등을 고려한 맞춤형 창업지원을 통해 소상공인 창업을 활성화
신사업 등 유망 아이디어와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선발하여 창업교육, 점포경영체험, 사업화 자금을 지원
예비창업자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성장촉진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창업지원실)
ㆍ재도전성공패키지
우수한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재창업자 발굴, 재창업교육, 멘토링, 사업화 지원 등 패키지식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재창업 교육 및 멘토링 등③재창업자를 위한 패키지 지원
예비재창업자 및 업력 7년 이내 재창업자(기업)
중소벤처기업부(창업정책과)
창업진흥원(리챌린지팀)
재창업
ㆍ농식품 벤처육성지원
농식품 분야 창업지원을 위해 사업화 자금지원 및 투자유치·판로개척을 위한 특화프로그램 제공
사업화자금
농식품 분야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
농림축산식품부(스마트농업정책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창업육성팀, 미래기반팀)
ㆍ관광벤처사업 공모전
관광분야에 특화된 맞춤형 창업 교육, 사업화, 판로개척 지원 등
①사업화 자금 교육·컨설팅 협업·네트워킹 등
관광분야 예비창업자,초기기업(~3년),성장기업(3년~7년) 등
문화체육관광부(관광산업정책과)
한국관광공사(관광기업창업팀)
ㆍ스포츠산업 예비초기창업·창업도약 지원
스포츠산업 초기 스타트업 육성 및 유망 스포츠 기업 성장 촉진
①기업지원금②교육 및 컨설팅③시제품 제작④네트워킹
예비창업자,7년 미만 창업기업
문화체육관광부(스포츠산업과)
국민체육진흥공단(창업지원팀)
사회적기업전담센터운영
ㆍ예술기업 성장 지원
예술분야 성장단계별 사업화 자금 및 투자유치 등 자원 연계 지원
①사업화 자금 ②교육 및 컨설팅 ③민간재원 유치 등 외부자원 연계
7년 이내 예술기업
문화체육관광부(예술정책과)
예술경영지원센터(기업육성팀)
ㆍ창업중심대학사업 지원
창업중심대학 지원을 통해 지역 창업 확산의 거점 역할 수행 및 성장 단계별 창업자 발굴 육성
사업화
예비창업자, 창업 7년 이내 기업
충청남도(일자리기업지원과)
호서대학교
ㆍ로컬크리에이터육성사업
지역의 자원과 특성 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창업하는 로컬크리에이터(지역가치 창업가)를 육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로컬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모델(BM) 구체화, 브랜딩, 마케팅, 네트워킹 등 성장단계별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로컬크리에이터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성장촉진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창업지원실)
ㆍ통합 창업 패키지 지원
지역의 유망 창업 아이템·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하여 안정적인 시장진입 및 스케일업 촉진
사업화 자금, 창업프로그램, 멘토링
신산업 창업분야 스타트업(업력 10년 미만)
중소벤처기업부(창업생태계과)
창업진흥원(지역허브팀)
신규
ㆍ스포츠산업 창업중기(엑셀러레이팅) 지원
전문창업기획자인 액셀러레이터를 통한 유망 스포츠기업의 투자유치 역량강화 및 초기·후속 투자 지원
①기업지원금②교육 및 컨설팅③투자 지원④네트워킹
7년 미만 창업기업(예비창업자 제외)
문화체육관광부(스포츠산업과)
국민체육진흥공단(창업지원팀)
투자유치역량강화특화
ㆍ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 (서귀포시)
청년창업농의 영농정착 지원금 지급 및 성장지원을 위해 창업자금, 기술·경영 교육과 컨설팅, 농지은행의 비축 농지 임대 및 농지 매매 연계지원
영농 정착 지원금 월별 지원 - 1년차 110만원 - 2년차 100만원 - 3년차 90만원
만18세 이상 40세 미만인 독립경영3년 이하의 청년 농업인
제주도(서귀포시감귤농정과)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전통문화 청년창업 육성지원 사업
청년들의 전통문화산업진입지원 및 분야 간 융합 촉진
①사업화 자금②교육·멘토링③프로모션(네트워킹, 유통채널 확대, 홍보 등)
전통문화산업*분야에서 창업하고자 하는 만39세 이하 예비창업자 및 39세 이하 3년이내 창업기업 대표자
문화체육관광부(전통문화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전통문화산업기반팀)
청년지원창업사업
ㆍ 콘텐츠 투자 연계 사업화 지원
창업 7년 이하 도약단계의 스타트업 대상 사업화 자금 및 스케일업 프로그램 지원(민간 투자기관 연계)
①사업화 자금②컨설팅·멘토링③후속투자유치 지원
콘텐츠 스타트업(창업 7년 이하)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금융지원과)
한국콘텐츠진흥원(기업육성팀)
ㆍ디지털 혁신기업 글로벌 성장 바우처 지원
글로벌 진출 지향 디지털 혁신기업의 제품 개발·고도화 및 레퍼런스 확보를 전문 민간기관(기업)과 연계하여 바우처 형태로 지원
①제품 개발·고도화②지역 실증
유망 글로벌 디지털 혁신 중소‧스타트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기반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글로벌창업팀)
해외진출
ㆍ창업기업제품 실증지원
혁신기술 우수 제품(서비스)에 대한 실증기회 제공으로 창업 기업성장을 지원
①실증장소②실증비용③실증확인서④후속지원
창업 7년 이내 기업
광주광역시(창업진흥과)
광주테크노파크(산업기술실증센터)
ㆍ농식품 기술창업 액셀러레이터 육성지원
농식품 분야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투자하는 액셀러레이터 육성지원을 통해 농식품 기술창업기업의 성장과 투자유치 활성화
①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②투자유치 지원
농식품 분야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
농림축산식품부(스마트농업정책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벤처투자지원팀)
ㆍ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지원사업
기술창업기업 성장단계별(예비-초기-도약-재창업-확산)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으로 지역 창업기업 육성·성장지원
창업공간 지원, 기술기반 스타트업 육성프로그램, 투자유치 경진대회, 창업아이디어경진대회 등
예비창업자 및 7년 이내 창업기업
부산광역시(창업벤처담당관)
(재)부산기술창업투자원
ㆍ청년창업농영농정착지원금 (제주시)
젊고 유능한 인재의 농업분야 진출을 촉진하는 선순환 체계 구축 및 농가 경영주의 고령화 추세 완화 등 농업 인력구조 개선
영농 정착 지원금 월별 지원 - 1년차 110만원, - 2년차 100만원, - 3년차 90만원
만18세 이상 40세 미만인 독립경영3년 이하의 청년 농업인
농림축산식품부(청년농육성정책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청년지원창업사업
ㆍ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ICT GROWTH)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ICT 유망기업을 발굴하여 해외진출, 금융지원 연계 등 종합 지원을 통해 미래유니콘 기업으로 육성
① 해외진출 지원②금융지원 연계(투자, 보증 등)
글로벌 역량을 갖춘 ICT 또는 ICT 기반 융·복합분야 중소기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기반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글로벌창업팀)
ㆍ 콘텐츠엑셀러레이터 연계사업화 지원
콘텐츠 분야 민간 액셀러레이터와 스타트업 간 연계 지원을 통한 성장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컨설팅·멘토링
민간 콘텐츠 액셀러레이터 및 콘텐츠 분야 초기 스타트업(창업 3년 이하)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금융지원과)
한국콘텐츠진흥원(기업육성팀)
ㆍ25년 예비창업패키지
혁신적인 기술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의 창업 사업화 준비단계를 지원하여 성공적인 창업시장 안착 유도
사업화
예비창업기업
충청북도(경제기업과)
(재)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전북형 창업패키지 지원
지역 대학 연구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술창업 분야 창업기업 육성
사업화 자금(최대 6천만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 컨설팅, 투자유치 연계 등
5년 이내 창업기업
전북특별자치도(창업지원과)
전주시,군산시
ㆍ대중견기업- 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
대․중견기업-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혁신기술 분야 협력, 투자 유치 등 동반성장 도모
①사업화 자금②R&D
창업기업
서울시(창업정책과)
서울경제진흥원
ㆍ전남창업투자지원센터
전남도내 해양수산관련 중소기업의 성장단계별 주력산업 육성 및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 강소기업 성장토대 마련
①사업화 자금②컨설팅 및 교육③사업화 자금④간접 투자프로그램 연계 컨설팅 및 IR제작 지원⑤판로개척지원(국내외 박람회 및 상담회)
‘25년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자
전라남도(수산유통가공과)
(재)전남바이오진흥원해양바이오연구센터
중장년, 청년, 해외진출
ㆍ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 및 예비·초기 창업기업의 성장 지원 등 지역 창업 생태계 허브 역할을 하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입주공간 지원,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스타트업 컨퍼런스 개최, 네트워킹 지원 등
예비창업자 및 7년 이내 창업기업
부산광역시(창업벤처담당관)
(재)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ㆍ맞춤형 예비창업가 발굴·육성
유망 창업아이템 및 혁신기술을 보유한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을 발굴하여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프로그램 지원③직간접 투자지원
예비창업자,창업기업
광주광역시(창업진흥과))
광주테크노파크(I-PLEX센터)
ㆍ예비ㆍ초기기술창업지원
우수한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초기 창업자를 원스톱 지원하여 창업성공률 제고 및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
①사업화자금 지원②액셀러레이팅③졸업기업과의 네트워킹
도내 예비, 창업 3년 미만의 기술창업기업
경기도(벤처스타트업과)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스타트업본부)
ㆍ창업성공패키지(글로벌창업사관학교)
청년창업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진출 준비, 기술교육 및 현지 진출 등 단계별 맞춤형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글로벌 5G 프로그램③창업공간④연계지원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등 만39세 이하 청년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청년정책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창업지원처)
해외진출
ㆍ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신산업분야 글로벌 선도기업과 협업하여 창업기업의 스케일업 및 글로벌시장진입기회 마련
①사업화 자금②주관기관 특화 프로그램③글로벌 기업지원 프로그램
혁신기술을 보유한 업력 7년 이내 창업기업*일부 10년이내
중소벤처기업부(글로벌창업팀)
창업진흥원(글로벌진출팀)
해외진출
ㆍ스타트업 해외전시회 지원
국내 스타트업 정책을 대표하는 ‘K-STARTUP’ 브랜드를 활용하여 국가통합관 조성하여 전시회에 참여하는 혁신 스타트업의 브랜드 가치 제고 및 적극 홍보지원
해외전시회 부스 임차, 전시회 참가비, 사전교육, 비즈니스 매칭 지원 등
7년 이내 창업기업 중 각 전시회별지원요건을 충족하는 자
중소벤처기업부(글로벌창업팀)
창업진흥원(글로벌협력팀)
해외진출
ㆍK-스타트업그랜드 챌린지
해외 우수 스타트업에 분야별 전문 액셀러레이팅 제공 후 우수팀 선발 및 후속 지원
①액셀러레이팅 ②비자 발급 지원③정착지원금
외국 국적을 보유한 예비창업자 및 7년 이내 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글로벌창업팀)
창업진흥원(글로벌진출팀
외국인
ㆍ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창업기업의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고 글로벌 기업으로서 경쟁령 함양 유도
①해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②글로벌 기업과의 실증 지원③해외진출자금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7년이내 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글로벌창업팀)
창업진흥원(글로벌진출팀
해외진출
ㆍK-스타트업 센터 사업
미국, 프랑스 등 7개국에 진출할 국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현지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입주공간 및 특화 멘토링 제공
①해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②특화 멘토링③입주공간 제공④해외진출자금
국내·외 투자유치 또는 현지매출(수출) 실적이 있는 7년이내 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글로벌창업팀)
창업진흥원(글로벌진출팀)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글로벌협력처)
해외진출
ㆍ글로벌 스타트업센터(GSC) 운영
한국내 외국인의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해 원스톱 상담창구 운영 및 국내정착 등 종합지원
①외국인 기술창업상담창구 운영②비자 취득 및법인설립 지원③사무공간 제공 및 네트워킹 프로그램
외국 국적자로서 한국내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 또는 7년 이내 기술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글로벌창업팀)
창업진흥원(글로벌진출팀)
외국인
ㆍ글로벌 진출 지원
콘텐츠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지원을 위한 현지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운영 및 해외마케 참가 지원
①컨설팅·멘토링네트워킹
창업 7년 이하 콘텐츠 스타트업(법인)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금융지원과)
한국콘텐츠진흥원(기업육성팀)
ㆍ관광 글로벌 선도기업 육성
관광분야 벤처기업의 해외 판로개척, 해외 진출 컨설팅, 투자유치 지원 등
①사업화 자금멘토링·컨설팅 교육후속투자유치 지원
관광분야 혁신기술 보유 중소기업
문화체육관광부(관광산업정책과)
한국관광공사(관광기업육성팀)
ㆍK-Global 해외진출지원사업(글로벌 창업 활성화기반 조성)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과 창출이 기대되는 ICT 혁신 기술 기업을 선발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 확장 및 지속적인 성장 지원
①경영컨설팅(내/외부)②PMF 컨설팅③해외IR④테크매칭⑤교육 세미나⑥보육공간
해외진출 희망 ICT 융합기술(Data, Network, AI, 5G 등) 보유 기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기반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재)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
ㆍDNA 융합 제품·서비스 해외진출 지원사업
AI 등 미래 디지털 기술 보육 국내 기업의 현지 안착과 지속가능한 파트너십 형성, 후속 사업 기회 발굴에 적합한 조인트벤처(JV, Joint Venture)형 해외 진출 지원
①현지 파트너십 발굴 지원②신규 합작법인 설립 전문컨설팅 및 사업개발 등 지원③설립완료기업 후속 컨설팅 및 사업개발 등 지원
AI 등 미래 디지털 혁신 기술 보유 기업으로 JV 추진을 희망하거나 이미 추진 중인 기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기반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재)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
ㆍAI·디지털전환 혁신기업 해외실증 지원
①AI·디지털전환 해외실증 프로젝트 발굴 및 ➁현지실증을 통해 AI·디지털전환 혁신기업의 해외진출 및 판로개척 지원
①해외수요-국내공급 매칭②해외실증
①Edu-Tech(교육)②Ag-Tech(농·축산)③디지털 헬스케어④디지털 제조분야 AI·디지털전환 기술을 보유한 유망 글로벌 기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기반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재)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
해외진출(신규)
ㆍ창업이민 인재양성프로그램(OASIS)
법무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공동으로 지정하는 ‘글로벌창업이민센터’에서운영하는 표준화된 창업교육 프로그램
①지식재산권 소양교육, ②창업코칭 및멘토링 ③창업공간 제공④사업화 지원 등
국내 기술창업 희망 외국인
법무부(체류관리과)중소벤처기업부(글로벌창업팀)
글로벌창업이민센터(한국생산성본부, 한국발명진흥회, 서울경제진흥원, 서울글로벌센터, 정보통신산업진흥원,창업진흥원,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외국인
ㆍ경북청년예비창업가육성지원
좋은 아이템과 기술력을 갖고 있는 예비 또는 초기 청년창업가들에게 사업화지원으로 청년창업 촉진
①사업화자금②창업교육③ 컨설팅
도내 만 39세 이하 예비청년창업가 또는 창업 1년 이내인 자
경북도청(청년정책과)
22개 시군(시군에서 지정한 운영기관)
청년
ㆍC-블루윙 펀드 조성
연차적 펀드 조성으로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생태계 확장
후속투자유치 지원
강소형 스타트업, 4차산업, 연구개발특구 권역기업 등
창원시(미래신산업과)
창원산업진흥원(창업인재양성팀)
ㆍ청년CEO육성사업
지역 내 잠재된 청년창업가를 발굴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청년창업 활성화 촉진 및 지역 경제 신성장 동력을 확보
①사업화②시설‧공간‧보육③멘토링‧컨설팅·교육
39세이하, 울산에 사업자등록 또는 예정인 (예비)창업자
울산광역시(기업지원과)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 (창업육성팀)
청년지원창업사업
ㆍ민간투자연계형기술창업지원
민간(운영사)의 자금․보육 전문성과 공공의 정책자금지원 협업으로 민간주도 창업생태계 조성 활성화 및 미래 유망 기술분야 우수기업 육성
①사업화자금 지원②운영사의 액셀러레이팅(증권형 펀딩 성공기업)
민간(운영사)이 1억원 이상 선투자 후 추천한 도내 창업 7년미만 기술창업기업
경기도(벤처스타트업과)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스타트업본부)
ㆍ데이터 활용 사업화 지원(DATA-Stars)
데이터 활용 기반의 우수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혁신기업으로 성장 하도록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데이터 특화프로그램(데이터 기술 컨설팅, 비즈니스 멘토링 등)
창업 7년 이내 데이터 활용 기반 스타트업(공고일 기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데이터진흥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활용확산팀)
ㆍ청년 해외 진출 기지 지원
해외진출 역량이 있으나,자원이 부족한 지역 청년창업가를 발굴하여 해외진출할 수 있도록 글로벌 청년 창업 지원 프로젝트 추진
①사업화 지원②액셀러레이팅③해외진출 지원 등
해외진출을 원하는만 39세 이하 7년이내 지역 창업가
인천광역시(창업벤처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경남 자원연계형 로컬창업 활성화 지원
도내 비도시권(인구감소지역)에 산재한 지역 특화 자원을 활용한 창업 활동을 통해 지역소멸을 막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지역 창업을 지원
①사업모델 구축 및 자원활용방법 등 교육②액셀러레이팅③사업화 자금
경남소재 예비창업자 또는 업력 7년 이내 기업
경상남도(창업지원과)
(재)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지역특화
ㆍ수산산업 창업투자 지원사업
제주 해양수산업의 창업 및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아이디어·기술 보유 창업기업 및 유망기업 발굴 ·육성
고부가가치 수산제품 개발 지원, 인증, 마케팅, 판로개척 등 통합지원
해양수산분야예비창업자 및7년이내 창업자
제주도(수산정책과)
제주테크노파크
ㆍ충북 콘텐츠코리아랩 운영
문화콘텐츠 창작자 육성 및 콘텐츠 산업 생태계 활성화
①창업자금 지원②전문가 컨설팅③창작자육성교육
예비창업자및 창업기업
충청북도(문화예술산업과)
충북과학기술혁신원,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ㆍ 콘텐츠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민간 창업지원기관 연계를 통한 예비창업 생태계 조성
①사업화 자금②컨설팅·멘토링
창업지원기관 및콘텐츠 분야 예비창업자(팀)/창업 1년 이내 기업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금융지원과)
한국콘텐츠진흥원(기업육성팀)
ㆍ선도기업 연계 동반성장 지원(콘텐츠 오픈이노베이션)
선도기업과 유망 스타트업 연계를 통한 콘텐츠 사업모델 발굴 및 동반성장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컨설팅·멘토링
창업 7년 이하 콘텐츠 스타트업(법인)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금융지원과)
한국콘텐츠진흥원(기업육성팀)
ㆍ농식품 판로지원
농식품 분야 벤처·창업기업의 판로확보 지원 및 유통채널 입점 지원
온·오프라인매장 입점 지원
농식품 분야 창업기업
농림축산식품부스마트농업정책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창업육성팀)
ㆍMonday Batch 100 프로그램
유망 예비창업자와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사업특성, 경쟁력 등을 파악하여 맞춤형 지원 추진
실증지원 프로그램 운영
예비~7년 이내 창업기업
충청북도(경제기업과)
(재)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유망 창업기업 투자유치 지원사업
보건산업분야 창업기업에 현장 중심의 전문지원을 통하여 국내·외 투자유치 및 기술이전 활성화 등 성장 지원
투자유치 지원
보건산업 분야 10년 이내 창업기업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육성단)
ㆍ바이오클러스터 조성 지원사업
바이오 분야 벤처 창업을준비하는 예비 창업팀과 기존 창업팀에 대한 맞춤형 지원사업
①사업화 자금②프로그램 지원③직간접 투자 지원
인천 소재 바이오기업
인천광역시(반도체바이오과)
인천테크노파크(바이오센터)
ㆍ경북 청년CEO 심화육성 지원
시군 청년예비창업 수료자 중 우수 청년창업가에 대한 지속적 관리․지원을 통해 지역의 대표적 청년기업으로 육성
①사업화자금②창업공간③창업교육④마케팅, 컨설팅
만39세 이하 3년이내 창업기업
경상북도(청년정책과)
경북테크노파크(경북청년창업지원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IP활용 창업‧ 성장 지원사업
도내 창업 초기기업의 지식재산 기술·경영 융복합 전문 컨설팅을 통해 지식재산(IP) 역량 강화로 경쟁력 우위 확보
IP 나래 프로그램, IP 디딤돌 프로그램 등
(예비)창업자, 7년이내 창업기업
특허청(지역산업재산과)
제주상공회의소제주지식재산센터
ㆍ부산대표 창업기업 지원사업
정부 ’글로벌 유니콘프로젝트‘ 사업에 진입할 수 있는 지역의 역량있는 기업을 발굴, 사업화자금 지원을 통한 맞춤형 성장 지원 사업
인건비, 제품개선비, 광고선전비, 시장조사비 등 사업화 자금 지원
성장성과 기술력을 갖춘 창업 7년 이내 기업
부산광역시(창업벤처담당관)
(재)부산기술창업투자원
ㆍ민간주도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혁신기술을 보유한 우수창업기업을 발굴하여 대ㆍ중소기업 간 협업을 통한 동반성장체계 구축
①투자유치 지원②교육
도내 7년이내 창업기업
경기도(벤처스타트업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글로벌오픈이노베이션본부)
ㆍ강원 로컬벤처기업 성장단계별 육성사업
지역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인「강원 로컬벤처기업」육성을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①사업화 자금②창업프로그램 지원
예비창업자업력 1년 ~ 10년 미만
강원특별자치도(일자리청년과)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ㆍ시군 청년혁신가 예비창업 지원
창의적인 아이템과 기술력을 가진 예비 청년 창업가 대상 아이템 사업화 교육 및 컨설팅, 초기사업화 지원을 통한 성공적인 창업기업 육성
①창업교육 운영 및 컨설팅시제품제작 지원
만 39세 이하 (예비)창업가 또는 3년 이내 창업기업
전북특별자치도(창업지원과)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북부권 청년창업지원센터 운영
경북 시군 청년예비창업 수료자 중 북부권 11개 시․군의 우수 청년창업가를 지속적으로 관리 지원하여 지역의 대표적 청년기업으로 육성
①사업화자금②창업교육③컨설팅
도내 만 39세 이하의 창업 3년 미만 청년CEO
경상북도(청년정책과)
경상북도 북부권 청년창업지원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경북‧구미방산혁신클러스터 전주기 방산 창업지원
국방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기술창업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
①창업 아이템 개발 및 고도화 자금 지원②창업교육 ③국내 전시회 참가 지원 등
경북 소재 예비/초기창업기업 15개사
방위사업청(방위산업고도화지원과)
국방기술진흥연구소경북‧구미 방산클러스터사업단(경북산학융합원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방산창업지원
ㆍ기창업자 경영개선자금 지원사업
북한이탈주민 중 6개월 이상 사업을 영위 중인 사업자의 사업안정을 위한 재정 지원사업
①재정지원②사후관리(컨설팅)
사업자등록 6개월 이상 북한이탈주민 개인사업자
통일부(자립지원과)
남북하나재단(일자리지원부)
북한이탈주민
ㆍK-Global액셀러레이팅
ICT 분야 특화 액셀러레이터의 역량 및 국내외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유망 디지털 혁신기업 발굴·육성 및 투자유치 활동 전반 지원
① 사업화 및 기술지원, 멘토링, 네트워킹 등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② 액셀러레이터 ICT 전문성 강화를 위한 활동 지원
민간창업기획자 등 (단, 대한민국 국적자가 액셀러레이터 대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기반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글로벌창업팀)
ㆍG스타트업 예비창업 지원
혁신적이고 우수한 창업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청년창업가를 발굴·육성하여 도내 창업활성화 도모
①사업화 자금②창업프로그램지원
만18세~45세 이하의 예비창업자 및업력 1년 미만
강원특별자치도(일자리청년과)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청년 융합기술 창업지원
서울대 창업인프라 등을 활용한 청년 특화 창업지원을 통한 청년창업 저변 확대
①사업화자금 지원②공간 ③멘토링ㆍ교육④행사ㆍ네트워크
도내 39세 이하 청년 중 예비 및 3년이내 창업기업
경기도(벤처스타트업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성과확산본부)
ㆍG스타트업 초기창업 지원
초기창업기업의 사업화 자금 및 전문 AC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지속적인 성장 및 시장경쟁력 강화 도모
①사업화 자금②창업프로그램 지원
업력 1년~3년 미만
강원특별자치도(일자리청년과)
강원창조경제 혁신센터
ㆍ디자인 융합 창업기업 육성
기술 융합 디자인 시장 확대를 위해 역량 있는 디자인 융합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성장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프로그램 지원③직간접 투자지원
사업 개시 7년 이내 디자인 융합 창업기업
부산시(디자인산업혁신담당관)
(재)부산디자인진흥원(산업혁신팀)
신규
ㆍ기업 자율형 창업프로그램
지역 혁신도시 이전 공기업(한국동서발전(주))과 지자체가 협력하여 지역 소재 창업기업에 필요한 사업화 지원 항목을 패키지 형태로 지원
사업화
울산시 소재7년 이내 창업기업
울산광역시(기업지원과)
울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ㆍ(울산)청년창업아카데미 사업
청년 창업자 발굴·성장을 통한 울주군 창업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①창업활동비 지원②창업 교육③전문가 상담 및멘토링
만18세~39세 울주군내 창업 1~3년(성장지원 5년)이내 창업기업
울산광역시울주군(일자리지원과)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 (창업지원부)
청년지원창업사업
ㆍG-StarDreamers 스타트업 육성지원
창업 초기 스타트업 대상 액셀러레이팅 및 사업화 지원
전문 액셀러리이팅 매칭, 사업화 지원금 지원, 외부 투자유치 연계
도내 소재 7년 미만 벤처·스타트업
경상북도(기업지원과)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대구 C-Lab
우수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초기창업기업에 사무공간, 사업화 자금, 투자 등 체계적인 보육으로 성장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프로그램 지원
창업 7년 미만 대구 소재 법인 기업
대구광역시(창업벤처혁신과)
(재)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ㆍ창업기업 마케팅 지원
창업기업 제품, 온라인 홍보 및 콘텐츠 제작 지원
브랜드 디자인, 온라인 마케팅, 전시 박람회 참가, 국내 인증 및 지식재산권 획득
7년 이내 창업기업
대전광역시(창업진흥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ㆍ혁신창업 및 기술사업화 플랫폼 운영
혁신기술 발굴 및 고도화 지원과 미디어 기반 R&D 사업화 지원
사업화, IR·PR 영상 제작 지원, 투자연계, 마케팅 역량강화
카이스트 학생·교원, 스타트업 및 중소벤처기업
대전광역시(창업진흥과)
KAIST 창업원
ㆍ대전 방산혁신클러스터방산진입형 드론특화 창업지원
드론특화 국방 신산업 분야 창업 아이템 발굴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해 창업기업 성공률 제고 및 지역 방산·드론 산업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①사업화 자금②창업공간③창업프로그램
본사 소재지가 대전광역시인 창업 7년 이내 기업(공고일 기준)
방위사업청(방위산업고도화지원과)
국방기술진흥연구소대전방산클러스터사업단(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드론특화창업지원
ㆍ경북 예비유니콘 성장지원사업
우수한 기술력과 성장가능성을 검증받은 도내 창업·벤처기업을 발굴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 지역특화 성장지원, 투자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도내 우수 기술력 및 성장 가능성을 검증받은 기업
경상북도(기업지원과)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 사업운영
산학연 R&D 인프라를 활용한 예비 및 초기 창업인 발굴 및 우수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사업
①중소벤처기업기술 혁신 사업화 지원②지역 창업 활성화 행사③창업 기본역량 향상 교육
지역 (예비)창업자,지역 대학(원)생, 창업에 관심있는 시민, 벤처 및 중소기업 (사업화지원금-사업자 등록상 포항시 소재)
포항시(바이오미래산업과)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
-
ㆍ사회적경제 문화 예술 청년 창업 지원 프로젝트
서초구의 문화·예술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적경제 창업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청년들의 창업 활동 및 사업 안정화를 지원
①사업비 지원②임차료 지원③역량강화교육 지원
19세 이상 39세 이하 예비․초기 청년 창업자
서초구청(일자리경제과)
서초구청(일자리경제과)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청년창업기업 액셀러레이팅 지원
청년기업 육성을 통한 청년창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무료공간 + 전문 액셀러레이팅 + 초기자금 지원
사업화자금 6천만원 3개사, 전문 액셀러레이터 매칭 보육 및 투자기회 제공
관내⋅외 7년 이하 청년창업기업
안양시(기업경제과)
안양산업진흥원(창업성장부)
ㆍ대학 특화 청년 창업 활성화 지원
대학 보유공간・장비・연구성과 등을 활용한 대학별 특화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고 체계적인 실전형 청년 창업지원
①사업화자금②투자유치③창업공간 지원 등
도내 청년 (예비)창업자
경상남도(창업지원과)
(재)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성남 스케일업 오픈이노베이션
대·중견기업과 관내 우수 창업기업 간 개방형 혁신을 통해 신성장 협업모델 제시
①사업화 자금지원②프로그램 지원
창업 7년이내 기업
성남시(미래산업과)
성남산업진흥원(스타트업지원부)
ㆍ영월군 청년 창업육성지원사업
청년들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창업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청년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유턴청년들의 지역정착 발판마련
사업화 자금
18세 이상 39세 이하
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일자리청년과)
-
청년지원창업사업
ㆍ관악S밸리 스타트업 스케일업
기술기반 우수한 아이디어 및 사업 아이템을 가진 벤처·창업기업을 발굴 및 육성함으로써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지원을 통해 벤처창업의 중심지 관악S밸리 조성
사업화 자금
창업 7년 이내 기업
관악구청(일자리벤처과)
관악구청(일자리벤처과)
ㆍ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아이디어를 스타트업에서 조달하여 기업-스타트업 간 협업을 통한 호혜적 성장지원
①사업화 자금②프로그램 지원
창업 7년 미만 대구 소재 법인 기업
대구광역시(창업벤처혁신과)
(재)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ㆍ민간협업 열린창업 활성화 사업
울산지역 (예비)창업기업, 재도전창업기업의 혁신적인 사업 아이디어 발굴육성 통한 지역 창업 붐 확산
①사업화자금②교육③창업네트워킹
울산소재 또는 울산시 기업이전 예정인 기술기반 예비 또는 7년 이내 창업기업
울산광역시(기업지원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기술창업팀)
ㆍ기술창업 재도전 지원
우수한 재기 창업자를 발굴하여 체계적인 교육, 멘토링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해 성공적인 재창업 유도
①사업화자금 지원②역량강화 지원③스타트업 지원센터 운영
도내 예비재창업 및 재창업 3년 미만 기술창업기업
경기도(벤처스타트업과)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스타트업본부)
ㆍ함안청년창업가 지속성장 지원 사업
청년 창업의 지속 성장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청년창업가 양성
①사업화 자금②교육 프로그램 지원③직간접 투자 지원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1년 이내 개인사업자 및 22~24년 해당사업 참가자
함안군(혁신전략담당관)
사회적협동조합 시드
청년지원창업사업
ㆍG스타트업 창업도약 지원
도약기 기업의 데스밸리 극복을 통한 생존율 제고 및 매출극대화를 위한 제품경쟁력 강화
①사업화 자금②창업프로그램 지원
업력 3년~7년 미만
강원특별자치도(일자리청년과)
강원창조경제 혁신센터
ㆍ창업기업 양성프로젝트
신산업 분야 기술창업기업을 발굴하여 지속 성장 가능하도록 지원
①사업화자금 지원(최대 3천만원),②멘토링, 투자유치 연계
3년 이내 (예비)창업기업
전북특별자치도(창업지원과)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제주콘텐츠코리아랩 운영
지역문화자원이 창의인재와 융합되어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①사업화 자금②교육/컨설팅
창업기업(업력3년이내)
제주도(문화정책과)
(재)제주콘텐츠진흥원
ㆍ제주관광 스타트업 육성 사업
제주 관광을 선도할 글로벌 강소 관광기업 발굴·육성을 통해 제주 관광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관광산업 생태계 조성
사업화 자금
창업 후7년 이내 기업
제주도(관광정책과)
제주관광공사
ㆍ2024년 충북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
이차전지․반도체․첨단IT 등 스마트․모빌리티 중심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규모를 확장하여 주력산업 전 분야의 창업생태계 성장을 지원
①실증지원②IR 및 네트워킹 프로그램
이차전지․반도체․첨단IT 등 스마트․모빌리티 중심의 스타트업
충청북도(경제기업과)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신규사업
ㆍ국방기술을 활용한창업경진대회
국방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국방기술의 민간이전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 국내 창업분위기를 조성
①활용한 국방기술 기술이전계약시 기본기술료 면제②사업화 멘토링, 기술지원
학생부(사업공고일 기준 대학(원)생) 및 일반부(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7년 이내 중소기업 임직원
방위사업청(기술정책과)
방위사업청(기술정책과)
방산창업지원
ㆍ우리지역 스타기업 만들기 사업
창업에 성공한 우수 청년 창업가에 대한 사업화자금을 지원하여 사업규모 확대 및 지역 스타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 구축
①사업화 자금②교육 프로그램 지원③직간접 투자 지원
대표자가 만19~49세이며 7년 이내 청년 창업기업
함안군(혁신전략담당관)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년지원창업사업
ㆍ희망점포 청년 창업 지원사업
청년층 창업지원을 통한 초기 창업비용 부담을 해소하고 맞춤형 컨설팅 지원으로 성공적인 창업을 견인하고 지역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
①시설비, 장비구입 등②컨설팅, 멘토링, 교육 지원
철원군 거주 만18세 이상~ 만49세 이하의 예비 창업자
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경제진흥과)
강원특별자치도 경제진흥원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창업BUS프로그램 운영
바이오,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 엑셀러레이팅 지원 및 투자 연계
①먼데이피칭②엑셀러레이팅 실증지원③투자연계지원
7년 이내 창업기업
중소벤처기업부
(재)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ICT디바이스랩 시제품 제작 및 사업화 지원
스마트 디바이스 관련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실제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인프라(장비) 및 사업화 지원
①시제품 재료비 및 제작공간·장비 지원②사업화(지재권 출원, 비즈니스 모델 기획 등) 지원
예비창업자, 학생, 중소기업(스타트업)
충청북도(과학기술정책과)
충북과학기술혁신원
ㆍ청년 소셜벤처기업 육성사업
원도심재생ㆍ복지ㆍ환경 등 우리시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들의 참신한 아이디어 활용 및 창업지원
사업화 지원
만 39세 이하,예비 및 창업 7년이내 기업
인천광역시(창업벤처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중장년 재도약창업지원사업
숙련된 기술을 보유한중장년층의 생계형 창업시장 유입 활성화, 기술 중심 혁신형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
사업화
만 40세 이상~ 만 64세 이하, 예비 창업자 또는 3년 미만 창업기업 대표자
충청남도(일자리기업지원과)
충남경제진흥원
중장년
ㆍ이차전지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 구축 사업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 道로서 이차전지 핵심 요소인 소재·부품·장비 및 관련 스타트업 육성 선도
①사업화 지원금②액셀러레이팅 실증지원 프로그램③투자연계지원
이차전지 분야 예비창업자 및 창업 7년 미만 기업
충청북도(산업육성과)
(재)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민간투자연계 기술창업지원
민간의 우수기업 발굴 등 전문성과 공공의 정책자금 및 인프라 지원 협업 사업화 자금 지원
사업화 자금지원
민간투자확보(예정) 창업 7년이내성남시 소재 기업
성남시(미래산업과)
성남산업진흥원(스타트업지원부)
ㆍ농식품 기술평가지원
농식품 분야 우수 기술에 대한 기술평가로 벤처·창업 기업의 투자, 저리융자 등 기술금융 창출 여건 마련 지원
평가수수료 지원
농식품 분야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
농림축산식품부(스마트농업정책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 (기술거래평가팀)
ㆍ벤처ㆍ창업 ESG선도기업 지원사업
ESG평가 및 투자 확대 동향에 따라, ESG리스크 선제 대응을 위한 선도기업 인증 및 집중 육성 지원
ESG선도기업 인증 및 사업화자금 지원, ESG경영지원협의체 후속 지원
ESG분야 관련사업 영위 부산시 소재 예비창업자 및 7년 이내 창업기업
부산광역시(창업벤처담당관)
(재)부산기술창업투자원
ㆍ대구스타벤처 육성사업
지역 유망 스타트업 선정(연간 5개사) 및 집중지원으로 스케일업을 통한 성장 및 도약 촉진
사업화 자금
지역 소재 창업 7년 미만 기술창업기업
대구광역시(창업벤처혁신과)
(재)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ㆍ창업재도전 지원
유망 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재창업자의 성공적인 재창업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프로그램 지원
예비재창업자
광주광역시(창업진흥과)
광주테크노파크(I-PLEX센터)
재창업
ㆍ대전 청년마을 조성사업
지역 청년들의 창업 공간 및 교육 등 지원을 통한 역량 강화 및 정착 지원
창업 제작 지원, 프로그램 지원, 공간 제공
예비 청년 창업자
대전광역시(청년정책과)
대전광역시동구 정책개발협력실
청년지원
ㆍ스타트업 지원사업
사업화자금 및 멘토링 지원
사업화
광명시 7년미만 (예비)창업자
광명시 (사회적경제과)
광명시 창업지원센터
ㆍ여수시 청년 도전 창업 지원
여수시 내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 예비창업자 대상 창업교육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한 청년 창업기업 육성 사업
①창업지원금(최대2천만원)②멘토링 및 창업교육 지원
청년 예비창업자(연령: 18~45세)
여수시(경제일자리과)
여수시(경제일자리과)
청년
ㆍ청년기술창업수당 지원
초기 단계 기술창업자의 창업활동비 지원으로 기술창업 생존율 제고
사업화 자금
창원시 소재 3개월 이상 3년 이내 기술창업자
창원시(미래신산업과)
창원시(미래신산업과)
ㆍ경북 TIPS(기술창업) 프로그램
도내 기업의 TIPS 선정 컨설팅 지원
TIPS 파트너사와 협업을 통한 공모사업 프로그램 운영
도내 소재 7년 미만 벤처·스타트업
경상북도(기업지원과)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양구군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지원사업
소상공인의 안정적 사업 출발 지원으로 창업 장벽 완화 및 시장경기의 활성화 유인
①시설개선비:내부시설 최대 1,000만원②임차료: 월50만원 이내 최대 12개월간 500만원한도 지원
양구군에 1년이상 주소를 두고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 및 초기 창업자
강원특별자치도양구군 (경제체육과)
-
ㆍ스타트업 전북챌린지 사업
전북 지역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전북에서 기회와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출향 및 도외 창업기업을 발굴하여 도내로 유치하고 투자 연계 지원
①투자유치 역량 강화(IR고도화, 1:1 전문가 매칭 지원 등)②사업화자금 지원(최대 3천만원)③후속 투자유치 지원
지역 주력산업 및 10대 초격차 분야의 전국 소재(전북 제외) 7년 이내 창업기업
전북특별자치도(창업지원과)
주관기관 미정(공모 예정)
ㆍ김제청년 예비창업 도전 지원사업 ‘힌트’
청년 예비창업가 사업화 자금 15백만원 지원, 맞춤형 멘토링, 창업가 교육 및 네트워킹, 오프라인 판매 마케팅 지원 등
사업화 자금
예비 청년 창업가(18세이상~39세이하)
김제시(경제진흥과)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 청년창업 스케일업 지원사업
청년창업 촉진 및 선순환 창업생태계 환경 조성을 위한 청년기업 IR 투자역량 강화·경영 컨설팅/멘토링· 제품 고도화 개발 등 종합 성장 지원
①IR 투자역량 강화, 경영 컨설팅/멘토링②제품 고도화 개발, 마케팅·판로개척③데모데이,투자연계
7년 이내청년 창업기업12개사 내외(39세 이하)
제주도(소상공인과)
제주테크노파크
청년지원
ㆍ홍천군청년창업 지원사업
청년창업가의 신규 창업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청년의 경제활동 참여 유도
①시설개선비② 임차료 24회③(후속지원)교육프로그램 지원
19세이상 47세 이하인자로 홍천군에 주민등록을 유지한 예비창업자 및 3년 미만 기존 창업자
강원특별자치도홍천군(경제진흥과)
-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신기술사업화 프로젝트 사업
대구시 스타트업의 우수 프로젝트 발굴 및 맞춤형 사업화 지원
우수 프로젝트 사업화에 필요한 수요맞춤형 전 분야 패키지 지원
대구 지역 내 창업기업 중 대구 5대 미래산업 및 전통산업 분야 대상
대구광역시
대구테크노파크(글로벌정책지원본부)
ㆍ프로젝트 Y
19~39세 초기 청년창업가에게 사업자금 지원, 사업홍보, 1:1 창업컨설팅 및 경진대회 등
①사업화자금 지원②창업컨설팅③경진대회
초기 창업기업
대전광역시 서구(전략사업과)
(사)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청년지원
ㆍ기술이전 창업지원
대학ㆍ연구기관 등 미활용 기술거래로 기술개발의 시행착오 감소 등 기술창업 성공률 제고
①사업화자금 지원②필요기술 발굴
기술이전 완료(예정)인 도내 7년이내 창업기업
경기도(벤처스타트업과)
경기테크노파크(기술지원본부)
ㆍ성남청년 창업 역량강화프로젝트『THE 와플』
기업 와디즈와 함께 예비창업 청년을 대상으로 창업역량강화를 위한 전문교육과 프로젝트 개발비 지원 등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종합 활동 지원을 통한 창업시장 진출 조력
①사업화 자금②교육지원③활동지원
예비창업자(창업 희망 청년도 가능)
성남시(청년청소년과)
성남시청소년재단(청년사업실)
ㆍ딥테크 시제품 제작 지원
초격차 분야별 핵심기술, 성장 가능성을 보유한 3년 이내의 관내 스타트업을 선별, 기술사업화 자금 지원을 통해 시제품 개발 및 제조창업 시너지 효과 창출
시제품 제작 비용
업력 3년 이내의 관내 스타트업
화성시(기업지원과)
화성산업진흥원(창업벤처팀)
ㆍ소규모 신규 창업자지원사업
신규 창업자를 위한 창업교육 및 실습지원, 재정지원
①실습지원②창업교육③엑셀러레이팅④재정지원⑤사후관리(컨설팅, 교육, 멘토링, 투자 등)
(실습지원) 옷수선, 미용, 사회 복지 등 생활밀착형 기술 보유 예비창업자(재정지원) 남북하나 재단 실습지원 수료자 및 아산나눔재단 아산 상회 수료자
통일부(자립지원과)
남북하나재단(일자리지원부)
북한이탈주민,여성, 스타트업
ㆍIP C&D 전략지원 (舊IP제품혁신 지원)(성남시 협업형)
성남시 소재 창업기업이 보유한 IP의 제품화를 통해 사업화 성공 촉진 및 IP기반의 강소기업 육성
①컨설팅 지원②후속지원 (개선제품에 대한 설계 및 워킹목업 등)
창업 7년이내 기업
특허청 / 성남시(미래산업과)
한국발명진흥회 /성남산업진흥원(스타트업지원부)
ㆍ반려동물산업 창업 및 영업 지원
반려동물산업 분야 우수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의 사업화 지원 및 반려동물 사업체 영업지원
<창업지원>①창업교육 및 전문가 멘토링②경진대회 개최, 사업화 자금 지원<영업지원>③마케팅 및 컨설팅 지원
춘천시 관내 반려동물산업예비창업자 및 기업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반려동물과)
강원대학교 KNU창업진흥원
ㆍ정읍시 로컬 청년창업지원사업
잠재력 있는 관내 청년 창업가에게 초기 창업자금 지원 및 창업 컨설팅 제공
①창업 역량강화 컨설팅 제공②초기 창업자금 3년간 최대 15백만원 지원(연 5백만원씩)
관내 거주 18세~45세 이하 예비 또는 1년 이내 초기 청년 창업가
정읍시(일자리정책과)
정읍시청년지원센터(창업컨설팅)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창업 소상공인 지원사업
창업 시 최대 10백만원 지원 (점포 구축 및 리모델링 7백만원, 임차료 3백만원), 창업 컨설팅 지원
사업화 자금
예비 창업가
김제시(경제진흥과)
-
ㆍ소상공인 생애 첫 창업지원금 지원사업
김제시에서 생애 첫 창업시작 소상공인에게 창업지원금(30백만원)을 지원하여 안정적인 초기 정착 유도
사업화 자금
생애 첫 창업가
김제시(경제진흥과)
-
ㆍ청년 창업 우수기업맞춤형 지원
창업 5년 이내 청년창업자에게 맞춤형 사업화 지원금 지원을 통한 창업생태계 조성
사업화 지원금
만 39세 이하, 창업 5년 이내 기업
충청북도(인구청년정책담당관)
(재)충청북도기업진흥원
청년지원창업사업
ㆍ거제시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사업
로컬분야 예비창업자 및 기창업자를 발굴하여 전문 창업교육 및 컨설팅, 사업화자금 지원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①사업화 자금②전문 창업교육,컨설팅 등
거제시 예비창업자 및 7년이내 기창업자 5명
거제시(일자리창출과)
(재)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예정)
로컬분야
ㆍ 청년 다시-DREAM 재창업 지원사업
폐업 후 재창업한 청년 사업자 대상 컨설팅, 창업 프로그램 교육,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한 선순환 창업 생태계 조성
①사업화자금②멘토링, 교육, 네트워킹 등
창업 경험이 있는 3년 이내 재창업 청년
제주도(소상공인과)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청년지원창업사업
ㆍ혁신창업 성장 맞춤형 지원사업
창업기업 현장 진단 실시 및 성장 코칭 등 전문가 컨설팅 지원을 통하여 애로사항 파악 후 애로 해소 지원 프로그램 매칭, 성장 단계별·맞춤형 프로그램 지원으로 기업 성장 및 자생력 강화
①기업 현장 진단 및 성장코칭②성장단계별·맞춤형 프로그램 지원③사업화, 시제품 제작, 시장분석, 판로개척·마케팅 등 지원
7년 이내 창업기업10개사 내외
제주도(소상공인과)
제주테크노파크
ㆍ창업기업(예비창업자)지원
창업기업(예비창업자)에 대하여 단계별 지원을 함으로써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
①멘토링 및 컨설팅②창업교육 프로그램③창업기업(예비창업) 사업화 지원
통영 소재 창업기업 (예비창업자)
통영시(일자리경제과)
통영시(일자리경제과)
ㆍ창업하면 고성스쿨
좋은 아이템과 기술력을 갖고 있는 청년들의 창업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및 청년 경제의 정착을 유도
①창업지원금②창업교육
예비(초기)창업자
고성군(인구청년추진단)
고성군(인구청년추진단)
청년지원창업사업
ㆍ부산진구 창업 키워드림 지원사업
교육, 컨설팅 및 사업화 자금 지원을 통해 창업초기 자금부담과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창업정착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교육, 컨설팅
만 39세 이하,예비·초기 창업기업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일자리산업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일자리산업과)
ㆍ부천창업리그 운영
유망 기술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창업기업 발굴, 사업화, 엑셀러레이팅 및 투자유치 지원
① 사업화 자금② 투자 검토③ 멘토링
창업 3년 이내 기업
부천시(기업지원과)
부천산업진흥원(창업성장팀)
ㆍ청년창업 챌린지
인천 지역 내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청년 (예비)창업가를 발굴 및 지원하여, 지역 우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
①사업화 지원②액셀러레이팅③후속화 지원 등
만 39세 이하 예비창업자(팀) 및 3년이내 창업자(팀)
인천광역시(창업벤처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TRYOUT 실증제품 시범구매 지원
스타트업의 제품 및 서비스를발굴하여 혁신제품 지정 및시범구매 판로지원
①혁신제품 컨설팅②판로지원
창업 7년이내 기업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스마트시티과)
인천테크노파크(스타트업파크센터)
ㆍ맞춤형 창업지원
예비창업자와 용인시 창업기업의 창업경쟁력 및 성공 가능성 제고를 위한 맞춤형 창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사업화/마케팅 자금 지원②맞춤형 교육지원③멘토링 지원
예비창업자 및 용인시 창업기업
용인시(기업지원과)
용인시산업진흥원(창업지원팀)
ㆍ벤처 및 스타트업 공동연구장비활용 지원
바이오 분야 기업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공동연구장비 활용 수수료 지원
장비 활용 수수료 지원
충북 소재 바이오 분야 벤처 및 스타트업 기업
충청북도(바이오정책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ㆍ강진군청년 창업지원사업
청년의 정착 기회 확대 및 청년 인구 유입 촉진을 위해 창업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지원
사업화자금
①~③요건 모두 충족①공고일 기준 만 19~45세②공고일 기준 2개월 이상 강진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③강진 관내 사업장
강진군(인구정책과)
강진군(인구정책과)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청년창업 희망키움 사업
유망사업 아이템 보유 청년 창업자 대상으로 사업화 자금 지원 및 멘토링·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업
①사업화 자금②멘토링 프로그램
창업 3년 이내 18~45세 (예비)청년창업가
강원특별자치도강릉시 (경제진흥과)
미정
청년지원창업사업
ㆍ 벤처기업 육성사업
벤처기업의 집중 육성을 통한 고용창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 기반 마련, 벤처기업의 기술·정보· 네트워크 연계로 글로벌 유망 벤처기업 육성
①기업수요 맞춤형 지원 및 마케팅 지원②조달청 벤처나라 입점 컨설팅 지원
벤처기업
제주도(소상공인과)
제주테크노파크
ㆍ도내 ICT 기업 지원사업
제주지역 ICT분야 창업 초기 기업의 우수 아이템 발굴· 시제품 개발 및 7년이내 창업기업 제품 고도화 지원
①시제품 개발 ②제품 고도화 등
제주 소재ICT 관련 기업(업력 7년이내)
제주도(미래성장과)
제주테크노파크미래산업센터
ㆍ창업·벤처투자 유치 지원사업
도내 창업기업의 성장자금 유치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경남기업의 스케일업 및 투자 활성화
행사‧네트워크
도내 창업기업
경상남도(창업지원과)
(재)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ㆍ청년농업인 창업 인큐베이팅 지원
초기 영농 및 창업 비용 지원으로 청년농업인의 성공적 농업 분야 진출 및 정착 유도
영농창업에 필요한 가공비, 홍보비, 교육비 등 자금
도내 청년농업인(19세이상 45세 이하)
제주도(친환경농업정책과)
청년지원창업사업
ㆍ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1인 예비창업자 및 7년 이내 기창업자에게 창업 기회와 환경 제공
창업보육(창업교육,자문 등)
타 직장에 재직 중이지 않은 7년 이내(예비)1인 창조기업 대표자
담양군(투자유치단)
(사)광주전남ICT협회(청년창업실)
청년지원창업사업
ㆍ김천시 청년 창업 공간 지원사업
점포 리모델링 비용 및 임차료 지원
사업화 자금
예비창업자
김천시(투자유치과)
김천시
청년
ㆍ빈점포 창업지원사업 김제애마켓
잠재력 있는 상권 내 빈점포 활용 창업 시 최대 20백만원 지원 (점포 구축 14백만원, 임차료 6백만원) 을 통해 성장기반 구축 지원
사업화 자금
예비 창업가
김제시(경제진흥과)
-
ㆍ속초시 생애 첫 창업지원금 지원
홍보‧재료‧시설비 등 초기 창업가 성장에 필요한 경비 지원
부가가치세 제외 최대 2백만원 지원(최초 1회)
속초시에 2024. 1. 1. 이전부터 주소를 둔 소상공인으로, 사업자등록을 2023. 1. 1. 이후 마친 초기 창업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지역경제과)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지역경제과)
ㆍ고성평생살기, 청년 창업 지원
관내 청년 창업 지원을 통해 미래 청년 일자리 창출 기반을 조성하고,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여 지역경제 활력 제고
사업화 자금
예비 및 2년이내 초기 창업자
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경제체육과)
-
ㆍ청년창업 더하기 지원사업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
사업화 자금
49세 이하 예비 또는 3년 이내 신규 창업가
장수군(농산업정책과)
장수군(농산업정책과)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청년창업 재정지원 사업
발전가능성이 높은 청년창업자를 발굴 지원하여 우수기업으로 성장을 유도하고, 사업초기 자립지원을 통해 청년의 지역정착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
①보조금②멘토링‧컨설팅·교육③행사‧네트워크
예비 청년창업자
인천광역시부평구(일자리창출과)
인천광역시부평구(일자리창출과)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스타트업 마케팅 강화 사업
창업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하고 온라인 판매를 지원함으로써 매출증대 및 기업 이미지 제고에 기여
①브랜드 개발②온라인판매 지원③국내외전시회 참가 지원
창업 7년 이내 기업
김해시(기업투자유치단)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 인제대·김해창업보육센터
ㆍ예비창업인(in) 프로젝트 지원사업
참신하고 사업성 있는 모델을 가진 예비창업자를 발굴,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하기 위한 창업환경 조성
창업교육, 컨설팅 및 창업비용 지원
제조업 기반 예비창업자
제주도(소상공인과)
제주경제통상진흥원
ㆍ벤처기업 집적시설 입주기업 역량강화사업
벤처기업의 경쟁력 향상 도모를 위해 시제품 제작, 홍보 및 마케팅, 인증 등을 지원하여 기업의 즉각적인 성과 창출 유도
①국내외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및 인증획득 등②시제품 제작 및 고급화 ③국내외 전시ž박람회 참가 등
벤처기업 집적시설 내 입주기업
영천시(기업유치과)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벤처기업 지원사업
ㆍ대·중견기업 협업오픈이노베이션 지원
관내 중견기업과 관내 스타트업 기업과 대·중견 기업 간의 오픈이노베이션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해 우수 창업기업의 빠른 시장진입과 지속 가능 성장 제고
사업화 지원
관내 창업 7년이내 기업
인천광역시(창업벤처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ㆍ안성맞춤 창업 통합지원사업
원도심 재생 및 사회적경제 활성화 등 공공의 가치 실현에 기여하는 공간기반형 창업 지원
사업화 자금(1인 최고 15백만원)
①예비·초기창업자②사회적기업 (예비)창업자
안성시(일자리경제과)
안성시(일자리경제과)
ㆍ여수시 청년 소상공인 맞춤형 방문 컨설팅
창업기반이 약한 초기 창업자에게 전문 컨설턴트가 직접 찾아가는 맞춤형 방문 컨설팅을 지원하여 청년 창업 점포 사업 안정화
①컨설팅 지원②사업화 자금(최대 500만원)
청년 소상공인(업력: 6개월~5년)(연매출: 2억원 이하)(연령: 18~45세)
여수시(경제일자리과)
여수시(경제일자리과)
청년
ㆍ김천시 청년CEO 육성사업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청년들의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예비창업가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체계적 지원을 통한 창업생태계 조성
①시설지원②창업교육 및 컨설팅③창업활동비④프로그램 운영 장소 지원
예비 또는 1년 이내 창업자(2024. 2. 이후 사업자 등록자)
김천시(투자유치과)
미정
청년
ㆍ김제청년 창업 도약 지원사업 ‘톡톡’
사업 성장 자금 15백만원 지원, 맞춤형 멘토링, 창업가 교육 및 네트워킹 지원 등
사업화 자금
창업한 지 7년이내인 청년 창업가(18세이상~39세이하)
-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와우메이커스 시제품 제작 지원
우수한 아이디어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관내 스타트업, 예비창업자에게 멘토링과 시제품 제작 비용을 지원함으로써 창업 성공률 제고
①멘토링② 시제품 제작비용
예비창업자 및 업력 3년 이내 스타트업
화성시(기업지원과)
화성산업진흥원(창업벤처팀)
ㆍ합천 청년·여성 창업지원사업
청년·여성 인재 발굴과 육성지원을 통한 지역 정착 유도 및 일자리 창출 기여
①점포임차료②시설비③기계·장비 구입비④홍보비 등
합천군 관내에서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 또는 여성
합천군(일자리경제과)
합천군(일자리경제과)
청년·여성창업사업
ㆍ청년창업 지역정착 지원사업
사업화자금 지원을 통한청년창업을 통한 청년의지역유입, 지원종료 후네트워킹 활성화 등 지속 관리를 통해 지역정착 유도
① 사업화 자금② 창업교육 및 컨설팅
예비창업자
김천시(투자유치과)
미정
청년
ㆍ청년창업 및 빈점포 창업 지원사업
관내에 거주하는 청년 및 중장년에게 창업을 통한 일자리 제공 및 지역안착 추진
①사업화 자금② 교육 멘토링
예비창업자 대상(39세 이하 /40~65세 이하)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경제산업과)
-
청년지원창업사업
ㆍ창업 중심대학사업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창업중심대학’으로 지정하여 대학발 창업을 활성화하고 지역창업 허브 역할 수행하기 위한 사업으로 대학발 창업기업 및 지역특화 창업기업 지원
사업화 자금, 민간연계,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 등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
전주시 (일자리정책과)
전북대학교창업지원단
청년지원창업사업
ㆍ관악S밸리 기술컨설팅 지원
대학교 및 연구소가 보유한 우수한 기술을 활용한 벤처·창업기업의 기술 애로사항 분석 및 최적 솔루션 제공을 통해 기업성장 지원
사업화 자금
창업 7년 이내 기업
관악구청(일자리벤처과)
관악구청(일자리벤처과)
ㆍ창업기업 크라우드펀딩 지원사업
크라우드펀딩 지원을 통해 창업기업의 초기시장 진입 유도 및 잠재고객 확보 유도
①교육 지원②페이지 제작 지원③광고지원
판매 가능한 시제품 및 서비스를 보유한 관내 창업기업(7년 미만)
군포시(기업정책과)
군포산업진흥원
ㆍ장수군 청년혁신가 예비창업지원
예비 청년 창업가의 아이템 사업화 교육 및 컨설팅, 초기사업화 지원
①사업화 자금②교육
39세 이하 (예비)창업가
장수군(농산업정책과)
(재)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특화사업본부)
청년지원창업사업
ㆍ군포 청년 창업 경진대회
우수한 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한 관내 청년 창업자 발굴 및 육성 지원을 통해 군포 청년 창업 활성화 도모
①사업화 지원②멘토링 지원
청년 예비창업자 및 초기창업기업(3년 미만)
군포시(기업정책과)
군포산업진흥원
ㆍ산업 스마트화 공모사업
초기 자립기반 마련을 위한 사업비 등을 지원함 으로써 지역 창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
①사업화 자금②심층멘토링
①성북구 거주②창업 3년이내 초기창업자 및 예비창업자
성북구(일자리정책과)
성북구(일자리정책과)
ㆍ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지원사업
입주기업의 우수 아이디어 및 아이템의 제품화를 위한 시제품제작, 디자인, 지식재산권, 홍보마케팅 등 체계적 지원을 통한 혁신 창업기업 육성
사업화 자금
3년이내 창업기업
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산업경제과)
영월군 창업보육센터
ㆍ청년창업 샌드박스 지원사업
지역 내 창업 초기 청년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속 성장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
①사업화 자금②멘토링 컨설팅③행사 네크워크
광산구 소재 7년 이내 청년 창업기업
광주광역시광산구청(시민경제과)
광주광역시광산구청(시민경제과)
청년지원업사업
ㆍ여성창업지원
여성창업기업 및 (예비)여성창업자에 대한 안정적 경영여건 조성 등
사업화 자금
광주시 7년 이내여성창업기업 및 (예비)여성창업자
광주광역시(창업진흥과)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광주지회
여성
ㆍ창업보육센터 운영지원사업
대학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 창업을 지원하여 창업성공률하여 지역경제에 기여
①시설‧공간‧보육②창업교육 프로그램③멘토링 및 컨설팅
예비창업자 또는3년 미만의 중소기업
담양군(투자유치단)
전남도립대학교 창업진흥원
청년창업지원
ㆍ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지원
국내외 기관과 협력을 통해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현지 시장조사, 마케팅, 법인 설립 등 글로벌 진출 지원
①현지 시장조사, 컨설팅②민간기관 협력 현지 액셀러 레이팅 프로그램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창업기업
서울시(창업정책과)
서울경제진흥원
ㆍ글로벌 교류·투자유치 지원사업
지역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컨설팅, 해외전시 참가 등을 지원하고, 해외 우수 기업등의 유입을 위한 인바운드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지원
창업 7년 이내 기업
부산광역시(창업벤처담당관)
(재)부산기술창업투자원
해외진출
ㆍG-유니콘 육성지원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가능한 유망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등
①사업화자금②투자유치 지원③해외전시박람회 참가지원 등
최근 5년이내 투자유치 실적이 5억원 이상인 광주시 소재 창업 기업
광주광역시(창업진흥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ㆍ경기 스타트업 글로벌 성장지원
청년창업가의 해외전시회 참관을 통한 창업경험ㆍ네트워크 형성 및 스타트업의 해외 투자유치 확대 등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통한 질적성장 기업 육성
①전시참관②교육③투자유치 지원
①39세이하 청년 중 예비 및 3년이내 창업기업, ②도내 7년이내 창업기업
경기도(벤처스타트업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스타트업본부)
ㆍ글로벌 스타트업 이륙작전
관내 창업기업의 글로벌 역량 제고를 위해 해외 진출에 필요한 전방위 솔루션을 지원하고 글로벌 혁신기업으로의 성장을 촉진
①사업화 자금②프로그램 지원③직간접 투자 지원
화성시 소재 혹은 이전 예정인 업력 7년 이내 스타트업(신산업 10년)
화성시(기업지원과)
화성산업진흥원(창업벤처팀)
해외진출
ㆍ바이오 글로벌 파트너링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한 유럽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파트너링 행사 BIO-Europe 참가 지원
글로벌 파트너링사전 전략수립 지원
예비~7년 이내 제약·바이오 창업기업
충청북도(경제기업과)
(재)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의료기기 글로벌 진출지원
의료기기 유망 창업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컨설팅 및 해외 전시회 참가지원
액셀러레이팅 실증지원 프로그램
의료기기 분야 창업 7년 미만 기업
충청북도(경제기업과)
(재)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ㆍ뷰티글로벌지원
완제품 및 브랜드를 보유한 충북도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프로그램
글로벌 진출 컨설팅, 제품인증(CPNP) 지원 등
뷰티(화장품, 천연물 등) 완제품 보유 충북도내 7년이내 스타트업
충청북도(경제기업과)
(재)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혁신소상공인창업지원
신사업 등 유망 아이디어와 아이템 등을 기반으로 창업하려는 예비창업자를 선발하여 창업교육, 1:1 멘토링, 사업화 자금 등 지원
510
예비창업자
0.38
로컬크리에이터육성
지역의 자원과 특성 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창업하는 로컬크리에이터를 육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230
소상공인
0.31
글로컬 및 로컬브랜드 창출
골목상권 내 로컬크리에이터‧소상공인 등이 상호 간의 사업 아이템 및 지역의 인적·물적 자산을 연결하는 로컬 브랜드 구축
8
소상공인
2.41
강한 소상공인 성장지원
우수 소상공인과 혁신 역량을 보유한 창작자· 스타트업 등과의 융합으로 차별화된 제품· 서비스를 창출하는 소상공인 발굴·육성
220
소상공인
0.95
우리동네 크라우드 펀딩
투자·융자에 대한 리워딩(이자) 방식을 상품 쿠폰, 할인권 등으로 다양화하고, 펀딩에 필요한 비용(기획·홍보·수수료 등)을 지원
1,300
소상공인
0.03
혁신소상공인 투자연계(신규)
소상공인 중 소기업으로 성장이 가능한 기업을 선발, 브랜딩‧마케팅‧제품 고도화 등을 집중 지원, 기업으로서의 성장을 지원
300
소상공인
1.00
신규
소상공인컨설팅
전문인력을 활용한 맞춤형 컨설팅 지원으로 소상공인 및 예비창업자의 경영애로 해결 지원
6,500
소상공인 및 예비창업자
0.01
소상공인온·오프라인교육
소상공인, 예비창업자의 창업 및 사업 운영 과정에 필요한 기술 고도화, 경영,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의 현장(이론・실습) 교육 제공
20,000
소상공인 및 예비창업자
0.01
소상공인온·오프라인교육
소상공인 온라인 교육 플랫폼(지식배움터)을 활용한 업종별·수준별 온라인 강의 및 전자책 서비스(전자도서관) 제공
50,000
소상공인 및 예비창업자
0.00
소상공인 유통물류지원
중소 유통단체의 공동사업 활성화 및 물류환경 개선 등을 지원하여 민간 중심 중소유통물류의 경쟁력 강화
4곳 이상
중소유통물류센터
소상공인 유통물류지원
중소유통 소상공인 경영역량 및 상품경쟁력 강화
256건
중소유통 소상공인
소상공인협업활성화
5인 이상 소상공인 간 협업화를 통해 공동사업 및 판로개척 등 지원
80개 내외
소상공인5인 이상 협동조합 등 협업체
소상공인협업활성화
적합업종을 영위하는 소상공인과 대기업이 업종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컨소시엄 운영 지원
4개내외
소상공인
백년소상공인 육성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우수 소상공인을 발굴하여 백년이상 존속·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및 성공모델 확산
100개 내외
소상공인
소공인스마트제조지원
소공인의 수작업 위주 생산 공정에 자동화 기기 도입, 데이터 수집·연계를 위한 기초단계 스마트기술(IoT 센서 등) 보급 확대 지원
1,800개사
소공인
소공인클린제조환경조성
소공인 작업장 내 현장진단을 통해 산업재해 예방 및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효율화 등 환경개선 비용지원
1,700개사 내외
소공인
소공인판로개척 지원
제품 품질력과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소공인을 대상으로 국내외 판로개척 지원
290개사
소공인
소공인복합지원센터 구축·운영
소공인 집적지 활성화 및 지역 소공인 육성을 위해 복합지원센터 구축·운영을 통해 소공인의 혁신성장 기반 조성
2개소
지방자치단체
동네상권발전소
상권 관계자가 직접 상권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상권 비즈니스 모델을 기획·연구하도록 협업과제 추진 지원
10개소
예비상권구역 컨소시엄
지역상권활력지원사업(신규)
상권주체 등 지역과 민간주도로 상권 활력회복을 지원하여 상권 활성화 및 자립 역량 강화
2개소
상권 컨소시엄
소상공인 온라인판로 지원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 진출을 위해준비→실전→도약의 단계별 지원과디지털커머스 전문기관 등 인프라 기반 지원
60,000개사내외
소상공인
브랜드소상공인육성(신규)
분야별 민간 플랫폼사와 협업하여발전 가능성이 높은 유망 소상공인을발굴하고 소기업으로의 성장 지원
3,000개사내외
소상공인
소상공인스마트상점기술보급
소상공인 사업장에 경영·서비스 혁신에 적합한 스마트기술(키오스크, 서빙로봇, 경영관리 S/W 등) 도입 지원
11,000개사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한시)
코로나19 이후, 배달·택배규모가 급증하면서 비용부담이 증가한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부담 완화를 위해 한시적 배달·택배비 지원
약67.9만명
영세 소상공인
소상공인 고용보험료 지원
자영업자 고용보험에 가입한 소상공인에게보험료 일부(50~80%) 지원
약 4만명
자영업자 고용보험 가입 소상공인
희망리턴패키지
‘경영개선→폐업→재취업‧재창업’의 단계별 재기 프로그램 운영
8만건내외
폐업(예정) 소상공인